WESTERN GERMANY 제품들은 빈티지쥬얼리 수집가들이 선호하는 쥬얼리피스들 중의 하나입니다.


웨스턴저머니 피스들은 1950~1990년대 동서독이 분리되었던 시점에 서독에서 생산되었던 쥬얼리를 의미합니다.

w. germany, western germany 등의 사인은 제조업체의 사인이 아니라 단지 생산지역을 나타내는 표기에 불과합니다. 

간혹 빈티지쥬얼리를 판매하시는 분들 중에 브랜드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 듯 한데 그것은 아닙니다.

이런 사인이 있는 제품들은 서독에서 1950년대에서 1990년대 사이의 제품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인이 있는 제품들은 수집가들 사이에 꽤 인기가 있는데 그 이유는 특유의 장식적인 filigree제품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국가의 사인들이 있는 쥬얼리피스들이 있는 데 각각 선호되는 아이템들이 다릅니다.

JAPAN 사인의 경우 글래스비즈 제품들, 특히 비즈귀걸이들이 인기가 있고 AUSTRIA 사인이 있는 제품들의 경우는

라인스톤 브로치들이 수집가치가 높아 보입니다.

 


미스티젬에서 취급하고 있는 WESTERN GERMANY 제품들입니다.

FILLIGREE란 표면을 특유의 질감으로 처리한 것을 의미하며 굉장히 화려한 느낌을 줍니다.

PINK RHINESTONE DEMI PARURE 제품입니다.

(DEMI PARURE-목걸이 귀걸이, 브로치 귀걸이 같이 두 개 세트로 이루어진 주얼리 피스를 의미합니다.)


MOURNING JEWELRY란 사랑하는 사람을 기리는 의미의 쥬얼리로

사랑하는 사람의 머리카락 등으로 브로치 핀등을 만들기도 하였는데, 본 제품은 MOURNING JEWELRY INSPIRED 제품으로

MOURNING JEWELRY에 영감을 받아 제작된 쥬얼리로 카메오 제품들이 유행과 관계없이 인기가 있습니다.

이 제품의 경우 1960년대경의 제조품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GREEN SALAD JEWELRY.

샐러드 쥬얼리는, 빈티지쥬얼리 중에서 수집가들사이에 인기가 있는 아이템으로 유리를 몰딩하여 만들어내는 스톤으로 구성된 쥬얼리를

의미합니다. 유리를 특정한 형태, 특히 쥬얼리에서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는 모티브들, 도토리나 나뭇잎 같은 것들을 많이 사용하였습니다.

 이 피스를 자세히 보시면 나무 열매 모양으로 길쭉하게 모양이 만들어진 스톤들이 중심부에 세팅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몰드로 일정한 형태를 만들어낸 글래스스톤들은 빈티지주얼리 아이템 중에서도 연대가 오랜 것일 확률이 높으며, 수집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제품의 경우 1950~1960년대 제품으로 볼 수 있습니다.


 

 

ROSE-PRINTED PORCELAIN CLIP-ON EARRINGS

파스텔 핑크 장미가 아주 예쁜 제품으로 AB STONE으로 장식되어 화사합니다.

AB STONE이란 AURORA BOREALIS STONE으로 북극광과 같은 색광효과를 가지는 금속코팅을 하여

반짝이는 특유의 광채를 준 글래스 스톤을 의미합니다.

빈티지쥬얼리를 소장하시는 분들이 가장 선호하시는 제품들 중의 하나입니다.


 

 

ART GLASS EARRRINGS

또한 WESTERN GERMANY 빈티지주얼리 중에서 가치가 있는 것 중의 하나는 ART GLASS제품입니다.

아래 제품은 네이비 아트글래스에 모조진주로 주변부를 장식한 제품입니다.

아트글래스는 유리스톤에 특유의 SWIRL(소용돌이 같은 효과)를 주어 독특한 미감을 주는 제품입니다.

예전의 아트글래스는 요즘의 것과는 좀 다른 느낌의 미감이 있습니다.



FAUX TURQUOISE BROOCH

인조 터키석을 세팅한 필리그리 브로치입니다.

얇은 메탈 프레임에 필리그리가 되어 있는데, 이러한 섬세한 피스는 요즘에는 좀 보기 힘듭니다.

이러한 피스는 실물을 보면 그 차이가 더 크지만 사진 상으로는 잘 드러나지는 않습니다.



FLORAL RINTED BROOCH

꽃이 프린트된 1950년대 제조된 빈티지쥬얼리 피스입니다.

필리그리 메탈 프레임이 꽃 프린트와 어우러져 앤틱풍 디자인의 미감을 잘 보여주는 제품입니다.



http://mistygem.co.kr


Posted by 컬렉터 M
,